임용미술/미술교육학

미술교육의 필요성과 목적

REVE 2022. 4. 16. 18:18

미술교육학의 개념 : 인간의 조화로운 인격형성을 돕기 위해 인간이 시각적, 공간적, 조형적으로 표현하고 그것을 이해하며 감상하는 활동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1. 미술교육 = 미술 + 교육

2. 미술을 중심으로 생각하는 시각

3. 교육을 중심으로 생각하는 경우

 

 

미술교육의 필요성

1. 자기 표현의 방법 : 자신들의 감정과 생각에 형태를 부여하는 시각화 행위 자체가 자기표현의 유효한 수단이 된다

   1) 예술의 기능 (The Arts and Man)

   (1) 발견으로서의 예술

   (2) 강화로서의 예술

   (3) 표현으로서의 예술

   (4) 기록으로서의 예술

   (5) 의사소통으로서의 예술

   (6) 해석으로서의 예술

   (7) 개혁으로서의 예술

   (8) 고양으로서의 예술

   (9) 질서로서의 예술

   (10) 통합으로서의 예술

 

   2) 창의성 중심 미술교육 : 자유로운 자기 표현 = 자아표현

   3) 치젝, 로웬펠드에 의해 강조

*** 자아표현과 모방의 차이점

      (1) 자아표현 : 어린이 수준에 맞는 표현, 독립적인 사고, 정서적 배출구의 역할, 자유로움과 융통성, 

                         새로운 상황에 쉽게 적응, 발전과 성공

      (2) 모방 : 어린이 수준에 맞지 않는 표현, 의존적인 사고, 좌절감, 방해와 억제, 획일적인 양식에 따름,

                   의존성과 고정성

 

   4) 어린이가 자신의 기준과 힘으로 표현할 때

   (1) 자신들의 개성을 반영할 수 있다 : 적은 형식성, 모든 표현 허용

   (2) 자신들의 정서나 무의식을 표현할 수 있다

   (3) 자신들의 성장을 표현할 수 있다

   (4) 자신들의 주변 환경이나 세계와 어떻게 소통하고 있는지를 보여줄 수 있다

 

2. 시지각의 계발

   1) 에드워즈 : 그림을 그리는 것은 기능을 배우는 것 이상의 의미가 있으며 '손' 의 문제가 아니라

                    새로이 볼 수 있는 '눈' 의 문제라고 강조

   2) 로웬펠드 : 촉각과 시각, 청각에 의한 직접적인 경험을 통하여 어린이들의 이미지 형성 능력과 

                     지각력이 계발된다

 

3. 좌우뇌의 균형 있는 계발

 

4. 개성과 창의성의 육성
   1) 어린이들의 수많은 개인차들을 수용하고 표현의 장을 마련하고 표현을 자극하고 격려하는 것

   2) 창의성의 구성요소 (길퍼드) : 민감성,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 재정의 능력

 

5. 아름다움과 즐거움의 향수

>> 쉴러 : 미술=심미적 놀이 (감각 충동 + 형식 충동)

 

 

 

미술교육의 목적

1. 미적 안목의 육성

   1) 미적으로 사물을 분별할 수 있는 눈 : 봄으로써, 보고 생각함으로써, 보이지 않는 것을 상상함으로써,

                                                      보고 생각하고 상상한 것을 나타냄으로써 이루어지는 예술

   2) 식별력, 분별력, 가치판단 동반

   3) 감상교육 강조

 

2. 조형 능력의 신장

 

3. 창의성의 계발

   >> 창의성의 유형 (아이스너)

   (1) 한계 확장하기 : 대상의 한계를 재규정함으로써 다른 가능성을 찾아내는 능력

   (2) 발명하기 : 새로운 대상이나 물체의 결합을 창안하기 위해 기존의 것을 활용

   (3) 한계 깨뜨리기 : 기존의 이론에서 차이와 한계를 발견하고 그것들 자체의 경계를 포함하는

                            새로운 전제를 발전시켜 나가는 과정

   (4) 미적으로 조직하기 

 

4. 감성의 함양

   1) 감성 지능

   (1) 피터 샐로&존 메이어 : 인간 내적인 지능, 인간 상호적인 지능

   (2) 골먼 : 자신의 감정 상태를 인식하고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며 자신을 동기화하고 타인의 감정을 인식하고

                상대방과 인간관계를 맺고 관리하는 능력

   (3) 셀로비&메이어 

  • 자기감정 인식
  • 자기감정 조절
  • 자기동기 부여
  • 타인감정 인식
  • 원만한 대인관계

   2) 미술교육은 감성 지능의 5가지 능력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가

   (1) 자신의 감정이 그대로 표현되고 표현된 것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파악할 수 있다

   (2) 자기감정 조절에 도움이 된다

   (3) 능동적이고 자율적인 특성

   (4) 미술 감상을 통해 다른 사람의 감정을 경험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