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4

정의적 특성의 발달

성격 발달 - Allport : 한 개인의 독특한 행동과 사고 및 감정의 양상을 ㅊ아조해 내는 개인 내부의 심리/신체적 체계의 역동적인 조직 - Sullivan : 인간 상호 관계 속에서 개인의 행동을 특징지어 주는 지속적인 심리적 특성 프로이드 성격 발달이론 1. 주요개념 1) 개인의 행동 : Id, Ego, Super-ego의 상호작용의 결과 2) 삶의 본능 (Eros) : 성 에너지 Libido (성적 본능 강조) 3) 죽음의 본능 (Thanatos) : 공격성, 파괴성 2. 성격발달 단계 1) 구강기 (0-1세) (1) 입으로 빨기, 물기, 삼키기를 통해 쾌감을 느끼는 시기 (2) 충동의 즉각적 만족에 빠짐 (3) id가 지배 (쾌락주의) 2) 항문기 (1-3세) (1) 배설물의 보유와 배설, 대..

교육심리학 2022.06.22

발달과 성숙

발달의 개념 : 유년기부터 성년기까지 인간에게 일어나는 변화 (신체 발달, 인지 발달, 사회/정서 발달) 발달에 대한 주요 논쟁 유전 환경 연속성 불연속성 결정적 시기 있다 결정적 시기 없다 초기경험 후기경험 발달의 원리 1. 발달 : 성숙(유전)과 학습(환경)의 상호작용의 결과, 분화와 통합의 과정 2. 발달은 연속적이며 비교적 순차적이고 예측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3. 연령증가에 따라 발달경향의 예언이 점점 어려워진다 4, 전체적 반응으로부터 특수한 반응으로 분화, 발달 5. 개인은 각기 다른 속도로 발달 6. 장기적 발달은 계속적이지만, 단기적 발달은 불규칙적이다 발달 이론 1. 인지적 발달 1) 피아제 인지발달이론 2) 비고츠키 인지발달이론 2. 비인지적 발달 1) 프라우드 성격발달이론 2) ..

교육심리학 2022.05.14

교육심리 개요

교육심리학의 성격 1. 교육심리학의 정체성과 정의 2. 교육심리학의 역할 교육심리학의 영역 1. 학습자의 특성 : 인지발달, 성격 및 사회성 발달, 도덕성 발달, 지능, 창의성, 특수학습자, 학습자의 다양성 1) 지적 특성 : 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언어력, 기억력, 학습력, 창의력, 문제해결력, 감상력 등의 본질이 무엇이며 학교학습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가 2) 정의적 특성 : 정의적 요인 = 지적 특성을 작동하게 만드는 요인 3) 학습자 변인의 발달과정 : 인간이 어떻게 발달하는지, 교육은 발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2. 학습과 과정 1) 학습 : 학습자와 환경이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만났을 때 학습자에게 일어나는 현상 2) 학습의 기제 : 행동변화의 기제, 교육가능성의 기제 3. 수업 : 학습과정에..

교육심리학 2022.05.06

미술교육의 필요성과 목적

미술교육학의 개념 : 인간의 조화로운 인격형성을 돕기 위해 인간이 시각적, 공간적, 조형적으로 표현하고 그것을 이해하며 감상하는 활동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1. 미술교육 = 미술 + 교육 2. 미술을 중심으로 생각하는 시각 3. 교육을 중심으로 생각하는 경우 미술교육의 필요성 1. 자기 표현의 방법 : 자신들의 감정과 생각에 형태를 부여하는 시각화 행위 자체가 자기표현의 유효한 수단이 된다 1) 예술의 기능 (The Arts and Man) (1) 발견으로서의 예술 (2) 강화로서의 예술 (3) 표현으로서의 예술 (4) 기록으로서의 예술 (5) 의사소통으로서의 예술 (6) 해석으로서의 예술 (7) 개혁으로서의 예술 (8) 고양으로서의 예술 (9) 질서로서의 예술 (10) 통합으로서의 예술 2..

색채 체계론 :: 색채 체계

색채의 표준화 1. 색채 표준의 개념 및 발전 >> 색채 표준화 작업: 색채를 정확히 측정/관리하고 표시하기 위해 색의 근거나 기준을 확립(31, 43기사) 1) 피타고라스: 조화의 원리를 형성하는 행성에 색 부여, 12음계와 연결시켜 음악과 색채의 유기적 관계 연구 2) 플라톤: 눈에서 나오는 광채가 물체를 비춤으로써 색채가 지각된다 3) 아리스토텔레스: 흰색과 검정 사이에 노랑, 빨강, 초록, 파랑, 보라와 같은 7색상을 제시하면서 만물의 성장과 결실 과정의 원리에 따른 색채 이론 주장 4) 포르시우스 (1) 색채의 근원적인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흰색에서 검정까지의 5단계와 빨강, 파랑, 초록, 노랑에서의 밝고 어두움의 단계를 가진 색입체를 만들었다 (2) 색채 역사에서 최초로 단계적인 변화를 시도한..

색채의 감각

색채의 지각적 특성 1. 색의 대비: 색상이 다른 두 색을 인접시켜 놓았을 때 서로의 영향으로 인하여 색상 차이가 두드러지는 현상(41기사) 1) 계시 대비 (1) 둘 이상의 색을 시간적인 차이를 두고서 차례로 볼 때 일어나는 색채 대비 현상 (2) 일정한 색의 자극이 사라진 후에도 지속적으로 색의 자극을 느낄 때 나타나는 대비 현상 (27, 35, 38, 47, 48, 50기사) 2) 동시 대비: 시점을 한곳에 집중시키려는 색채 지각 과정에서 일어나는 현상 (1) 명도 대비: 명도 차이가 나는 두 색을 서로 대비했을 때 서로의 영향으로 더욱 어둡게, 또는 더욱 밝게 보이는 현상(21, 36, 38, 39, 41기사) (2) 채도 대비 - 채도가 다른 두 색을 인접시켰을 때 서로의 영향으로 채도가 높거나..

색의 혼합

색채 혼합의 원리 1. 원색(47,48기사): 더 이상 분해할 수 없는 색/모든 색을 나타낼 수 있는 최소한의 색 1) 빛의 3원색: RGB 2) 색료의 3원색: CMY 2. 혼색 - 2개 이상의 색료나 색 필터 또는 색광을 혼합하여 다른 색채 감각을 일으키는 것(색 자극이 변하면 색채 감각도 변하게 된다는 대응 관계) - 서로 다른 광파를 가진 파장이 망막의 특정 부위를 자극시켜서 하나의 색으로 지각하도록 하는 것 1) 동시 혼색: 동시에 2개 이상의 스펙트럼을 겹쳐 자극을 주는 것 2) 계시 혼색: 서로 다른 자극을 교대로 발생하여 혼색되게 하는 것 3) 병치 혼색: 서로 다른 자극을 공간적으로 접근시켜 혼합되어 보이도록 하는 것 4) 물리적 혼색(가법 혼색, 감법 혼색)/생리적 혼색(병치 혼색, 회..

색채 지각론_색지각의 원리

빛과 색 1. 색의 정의 1) 빛의 이해(41기사) (1) 빛: 사물에 반사되어 우리의 눈이 색을 지각하게 하는 일종의 전자기파 가시광선: 380-780nm 자외선: 380nm보다 짧은 파장의 영역 적외선: 780nm보다 긴 파장의 영역 (2) 장파장(붉은빛이 가장 적게 굴절됨), 중파장, 단파장(보랏빛이 가장 많이 굴절됨) (3) 백색광: 파장이 다른 빛들의 혼합체 (4) 발광: 빛 발광(형광/인광), 전계 발광, 화학 발광 2) 분광 실험: 1666년 뉴턴은 태양 광선을 프리즘에 통과시키는 실험을 통해 가시광선 발견 3) 분광 반사율 (1) 조명에 의하여 물체의 색을 결정하는 광원의 성질 (2) 빛을 반사하는 각 파장별 세기 (3) 물체의 색: 표면에서 반사되는 빛의 각 파장별 분포에 의해 정의, 명..

조색

조색 기초 - 일정한 원색을 가지고 혼합하여 새로운 색상이나 중간색을 만드는 과정 - 컴퓨터를 이용하는 CCM에 의한 조색법/눈으로 보면서 색을 조정해 나가는 육안 조색 조색 방법 1. CCM(Computer Color Matching System): 컴퓨터 장치로 측색하여 컬러런트를 정밀한 비율로 자동 조정/공급함으로써 색을 배색하는 시스템 1) CCM에 의한 방법 (1) 분광 특성: 단위 농도당 분광 반사율의 변화로 입력 (2) 자동 배색 장치의 특징: 분광 반사율을 기준색에 맞추어 일치시키기 때문에 광원이 바뀌어도 색채가 일치하게 되어 무조건 등색을 실현할 수 있다 (31기사/36기사/39기사/40기사/41기사/44기사/49기사) (3) 퀄리티 콘트롤/포뮬레이션 퀄리티 콘트롤: 색을 측정하고 오차를..

디지털 색채

디지털 색채의 기초 1. 디지털 색채의 정의 및 특징 : 0과 1 두 가지 상태로만 데이터를 생성, 저장, 처리, 출력, 전송하는 디지털 전자 기술(12기사) 1) 비트맵 이미지: 화소(그래픽 카드를 이용하여 모니터에서 격자나 그리드 위에 디지털 색채 영상을 만드는 가장 작은 단위)로 구성 2) 벡터 그래픽 이미지 (1) 베지어 곡선을 이용하여 표현한 것 (2) 점과 점을 연결하여 선을 만들고 선과 선을 이용하여 도형을 만드는 방식 (3) 수학적인 방정식에 의해 관계식 설정 >> 앨리어싱 안 생김(31기사/44기사) (4) 작은 이미지의 용량 >> 가상 현실의 색채 영상을 만드는 데 영상 3) 해상도: 화면 또는 인쇄 등에서 이미지의 정밀도를 나타내는 지표 (ppi/dpi) (1) 같은 크기에서 픽셀 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