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러리스트 산업기사,기사

색채 체계론 :: 색채 체계

REVE 2021. 8. 10. 12:37

색채의 표준화

1. 색채 표준의 개념 및 발전

>> 색채 표준화 작업: 색채를 정확히 측정/관리하고 표시하기 위해 색의 근거나 기준을 확립(31, 43기사)

 

   1) 피타고라스: 조화의 원리를 형성하는 행성에 색 부여, 12음계와 연결시켜 음악과 색채의 유기적 관계 연구

   2) 플라톤: 눈에서 나오는 광채가 물체를 비춤으로써 색채가 지각된다

   3) 아리스토텔레스: 흰색과 검정 사이에 노랑, 빨강, 초록, 파랑, 보라와 같은 7색상을 제시하면서 만물의 성장과

                            결실 과정의 원리에 따른 색채 이론 주장

   4) 포르시우스

      (1) 색채의 근원적인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흰색에서 검정까지의 5단계와 빨강, 파랑, 초록, 노랑에서의

          밝고 어두움의 단계를 가진 색입체를 만들었다

      (2) 색채 역사에서 최초로 단계적인 변화를 시도한 색채 시스템(13기사)

   5) 뉴턴

      (1) 1666년 분광 실험: 빛은 곧 색이요, 색은 곧 빛이다

      (2) 프리즘에 통과시킬 때 나타나는 여러가지 색띠로 구성된 스펙트럼을 7단계의 무지개 색으로 분류(37기사)

   6) 호이겐스: 빛은 진동을 통해 파동한다

   7) 해리스:

      (1) 원형으로 만들어진 최초의 색채 도표 완성

      (2) 물감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빨강, 노랑, 파랑의 색상환으로 오늘날의 감법 혼색에 의해 증명

   8) 토마스 영: 빛의 파동설, 3원색설

   9) 괴테

      (1) 생리학적으로 지각한 색채의 심리적 접근 모색

      (2) 색은 물리적인 대상일 뿐만 아니라 인간의 눈을 통해 지각된 심리적인 대상이므로

          과학만으로 해석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10) 쉐뷰럴

       (1) 직물의 혼색 > 병치 혼색의 개념 제시

       (2) 색채 조화와 대비의 법칙: 동시 대비의 원리, 세퍼레이션 컬러, 보색 이론(24, 42기사)

   11) 맥스웰(37기사)

       (1) 빛의 전자론 >> 1850년대 중반 색의 혼합에 관한 이론

       (2) 가법 혼색의 원리: 회전판을 통한 빛의 혼합(42기사)

   12) 헤링: 4원색설과 무채색광 가정

   13) 루드: 색상의 자연 인쇄 > 황색에 가까운 것은 밝고, 먼 것은 어둡다(30, 32기사)

   14) 먼셀: 먼셀 표색계

   15) 오스트발트: 현실에는 존재하지 않지만 이상적인 백색, 검정, 순색을 가정함으로써 색의 원리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16) 파버 비렌: 색 삼각형 > 색채는 기계와는 달리 심리적, 정신적 반응에 지배된다

       (1) 순색, 하양, 검정의 기본 3색을 결합한 4개의 색조군

       (2) 7개 범주에 의한 조화 이론 제시(10, 17기사)

 

 

2. 현색계와 혼색계

   1) 현색계: 표준 색표의 번호나 기호를 붙여 물체의 색채를 나타내는 체계

      (1) 현색계의 색(물체색, 투과색): 3속성에 의해 정량적으로 분류되고 색표화하여 나타낸 것

      (2) 현실에 있는 색들을 기준으로: 조건 등색이나 광원의 영향을 많이 받음

      (3) 색편을 등간격으로 뽑아내면 축소된 색표집으로 사용 가능

      (4) 먼셀 표색계, NCS 표색계, P.C.C.S 표색계

 

   2) 혼색계: 빛의 3원색과 그들의 혼합 관게를 객관화한 시스템

      (1) CIE: 심리, 물리적인 빛의 혼합을 실험하는 데 기초를 둔 것, 정확한 수치 개념에 입각(23, 46, 49기사)

      (2) 빛의 자극치를 수치화시켜 표현하므로 색편 사이의 간격이 현색계 시스템보다 조밀(50기사)

      (3) 광원이나 빛의 색을 수치로 표시해 주므로 물리적인 영향을 받지 않는다(47, 48기사)

      (4) 오스트발트 표색계, CIE LCh/CIE Yxy/CIE Luv/CIE Lab, RGB(45기사)

 

 

3. 색채 표준의 조건 및 속성

   1) 표준화하려는 색들 간에 지각적 등보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2) 색채들 간의 속성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어야 한다

   3) 색채 표기의 국제 기호화가 이루어져야 한다(22, 23기사)

 

 

 

CIE(국제조명위원회)

1. CIE 색채 규정

   1) CIE(빛에 관한 표준과 규정에 대한 지침을 목적으로 하는 국제 기관)(25기사) 색체계

      (1) 빛의 속성을 정량적으로 정함으로써 감각적이고 추상적인 빛의 속성을 객관적으로 표준화한 시스템(49기사)

      (2) RGB(맥스웰의 빛의 3원색)(50기사)를 이용하여 가상의 색과 똑같은 색이 되는 지점에서 나타나는

          출력량의 '등색 함수'를 계산한 수치

      (3) 표준 광원 A,C,D65 아래 2도시야 기준: RGB, XYZ, Yxy / 10도 시야 기준: CIE LUV, CIE LAB

      (4) 색채를 설계하고 관리할 수 있다

 

   2) CIE 색채 규정

   3) 2도 기준 관찰자와 10도 보조 기준 관찰자

 

 

2. CIE 색체계

   1) CIE XYZ

      (1) 빛의 조합으로 만들어지는 모든 색과 눈에서 감지되는 색이 동일해지는 지점을 등색 함수로 수치화시킨 자극 값

      (2) 3자극치 개념: 색 시각의 3원색 이론

      (3) X(빨강), Y(초록), Z(파랑)

 

   2) CIE Yxy

      (1) XYZ 색표계가 양적인 표시 체계이어서 색채 느낌을 알기 어렵고 밝기의 정도를 판단할 수 없다는 점을

          보완하기 위해 수식을 변환하여 얻은 색표계

      (2) 광원색을 나타내는 Y값은 좌표로서의 의미를 잃고 색상과 채도를 나타내는 x와 y로만 색채를 표시할 수 있다             >> 2차원 변환식

 

   3) CIE Lab

  • 색차를 구하기 위한 목적
  • 1976년 국제조명위원회가 CIE 색도도를 개선하여 지각적으로 균등한 색공간을 가지도록 제안한 색체계(44기사)

      (1) L : 반사율/명도(27기사)

      (2) a, b : 색도 다이어그램/색상과 채도의 정도, 바깥 둘레로 갈수록 선명한 빛을 띠게 되어 채도 증가(29,50기사)

      (3) a : 플러스 방향 빨강/마이너스 방향 초록

      (4) b : 플러스 방향 노랑/마이너스 방향 파랑

 

   4) CIE LUV

      (1) Yxy가 가진 색자극의 불일치를 보완하기 위해 보완된 색공간

      (2) L : 반사율/명도 - u, v : 2개의 채도축과 색상

      (3) 색자극이 가산 혼합에 의해 일치할 수 있도록 직선상의 거리로 색을 나타내었다

 

   5) CIE LCh

      (1) L : 백색과 흑색, 최대의 Lightness와 Darkness

      (2) C : 채도값 Chroma, 극좌표계에서 방사선의 길이로 표시

      (3) h : 색상

 

 

 

먼셀 색체계

1. 먼셀 색체계의 구조, 속성

   1) 먼셀

      (1) 컬러 오더 시스템 : 인간이 물체색을 보고 인지하는 지각 체계를 색의 3가지 속성인 색상, 명도, 채도

                               체계화시킨 것/현색계 색계 체계

      (2) 먼셀 색체계 : 색과 색 사이를 사람의 주관적인 시감에 바탕을 두어 등간격으로 배열함으로써

                        정량적인 물리값이 아닌 심리적인 색체계를 바탕으로 계획된 것

 

   2) 먼셀 휴 : 색에 있는 가변적인 개념을 나타내기 위해 기호를 적용한 것 

      (1) 10색상 : 빨강, 노랑, 초록, 파랑, 파랑, 보라/(보색) 주황, 연두, 청록, 남색, 자주(23기사)

      (2) 1~10의 숫자와 색상 기호로 표시/ 5는 기본 색상

      (3) 기본 색상에서 정확히 맞은 편에 각 잔상색(2차 색상)을 위치시켰다

 

   3) 먼셀 밸류 : 7명의 피실험자의 응답을 평균화한 것

      (1) 0 : 가장 어두운 검정, 빛을 전혀 반사하지 않은 상태/10 : 가장 밝은 흰색(36기사)

      (2) 1 : 가장 어두운 회색/9.5 : 가장 밝은 단계/5 : 중간의 회색(34기사)

 

   4) 먼셀 크로마 : 가로로 배열된 채도 단계

      1) 각 색상마다 최고 채도치가 다르다 : 빨강과 노랑의 최고 채도치-16/파랑과 청록의 최고 채도치-12

      2) 색채 나무

 

   5) 먼셀 색체계의 명도 속성

      (1) 숫자가 작을수록 저명도, 10에 가깝게 커질수록 고명도

      (2) 표준광 C의 표준 조명에서 산화마그네슘을 1mm의 두께로 훈연하여 제작한 표준 백색면을 기준으로

         시감 반사율 측정

 

   6) 먼셀의 색입체

   7) 먼셀 색 기호 표기법

 

 

2. 먼셀 색체계의 활용 및 조화

   1) 먼셀의 균형 이론

   2) 먼셀의 조화 이론

 

 

 

NCS(Natural Color System)(35, 49기사)

1. NCS의 구조, 속성

   1) 개념

       (1)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유행색과는 달리, 보편적인 자연색을 기본으로 삼아 색채에 관한 표준 체계를 제시하여             색채의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해지도록 만들어졌다

       (2) 기본색 : 노랑, 파랑, 빨강, 초록, 하양, 검정(26, 46, 47, 48, 49, 50기사)

       (3) W(하양)+S(검정/스웨덴어)+C(순색)=100(44기사)

 

   2) NCS 색상환

      (1) 헤링의 대응색설에 따라 노랑, 빨강, 파랑, 초록을 기본으로 각 색상 사이를 10단계씩 분할하여

          총 40색상으로 구성

      (2) 뒤에 오는 알파벳 기호에 해당하는 혼합량을 표시하도록 되어있다(50기사)

 

   3) NCS 색 삼각형

      (1) 세로축 : 흑색의 양으로 총 10단계로 분할된 회색 척도

      (2) 가로축 : 순색의 정도

      (3) 삼각형의 오른쪽 꼭지점 : 최고 채도를 나타내는 순색(36기사)

      (4) 뉘앙스로 색을 표시한다

 

   4) NCS 기호 표시법: 흑색량, 순색량 - 색상의 기호(29, 36, 37, 44, 47, 48기사)

   5) NCS 명도와 검정 정도

 

 

2. NCS의 활용 및 조화

 

 

 

기타 색체계

1. 오스트발트 색체계

- 현실에는 존재하지 않는 3가지 요소를 가정 >> 백색, 흑색, 순색

- a, c, e, g, i, l, n, p 의 8단계 회색 척도 : a로 갈수록 밝고 p로 갈수록 낮은 명도(36기사)

 

   1) 오스트발트 색상환

      헤링의 반대색설 >> Yellow, Red, Ultramarine Blue, Sea Green 4원색(25기사) + Orange, Purple, Turquoise,

      Leaf Green 중간색 = 8개 색상으로 구성 >> 3등분하여 총 24색상으로 구성

 

   2) 오스트발트 등색상 삼각형

   3) 오스트발트 기호 표기법 : 색상 번호, 백색량, 흑색량(23, 36기사)

   4) 오스트발트 색입체 - 세로선상의 위쪽 : 이상적인 백색 / 하단 : 이상적인 흑색

   5) 오스트발트 색채 조화 편람

   6) 오스트발트 표색계의 장점과 단점

   7) 오스트발트 조화론

      (1) 등백색 계열 : 순색과 검정 계열의 평행선상에 놓인 색을 등간격으로 골랐을 때 생기는 조화

      >> 모든 색의 백색량 동일 : 쉽게 조화를 얻어낼 수 있다

      (2) 등흑색 계열 : 하양과 순색 계열의 평행선상을 기준으로 색표에서 알파벳 뒤의 기호가 같은 색으로

                            이루어진 흑색량이 같은 계열의 조화(47, 48기사)

      (3) 등순색 계열 : 무채색축을 기준으로 일정한 순색의 양을 나타내는 수직선상의 계열에 위치한 색의 조화

                            (47, 48기사)

      >> 실제 순색의 양이 다르지만 시각적으로 순도가 같아 보이는 색들(25기사)

      (4) 등가치색 계열, 등가색환의 조화

  • 백색량과 흑색량이 같고 색상만 다른 조화 원리
  • 무채색을 축으로 하여 백색량과 흑색량이 같은 28개의 새 계열(36기사)

      (5) 무채색 계열

      (6) 유채색과 무채색 계열 

 

 

2. P.C.C.S(Practical Color Coordinate System) 색체계

- 톤의 개념이 도입되어 색채 교육 및 배색 조화에 용이하다(36, 37기사)

- 포화도 s로 표시하여 모든 색을 9단계의 채도로 나누고 있다

 

   1) P.C.C.S 색상

   2) P.C.C.S 명도

   3) P.C.C.S 채도

   4) P.C.C.S 기호 표기 방법

   5) P.C.C.S 톤

 

 

3. DIN 색체계 : 산업의 발전과 규격의 통일을 위해 독일의 공업 규격으로 제정된 색체계 (24가지)

  • 채도 Sattigung : 0-15
  • 암도 Dunkelstufe : 0-10
  • 색 표기 : 색상 T - 포화도 S - 암도 D

4. RAL 색체계

5. 기타 색체계 : 팬톤 색체계, DIC 색체계

'컬러리스트 산업기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색채의 감각  (0) 2021.08.05
색의 혼합  (0) 2021.08.04
색채 지각론_색지각의 원리  (0) 2021.07.14
조색  (0) 2021.07.09
디지털 색채  (0) 2021.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