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용미술

Chapter 3. 한국미술사_통일신라미술

REVE 2021. 3. 1. 12:08

1. 특징

   1) 불교 미술의 황금기

   2) 호국 불교

   3) 사실적이고 생동감 있는 조각 발달 > 조각의 황금기

   4) 화려한 금속공예 발달

 

2. 회화

   1) 당나라의 회화 > 사실적인 청록 산수화 발달

   2) 불교 회화 발전

  • 전체서 설치: 도화를 관장하던 국가 기간
  • 솔거: 노송도 / 김충의
  • 대방광불 화엄경 변상도: 닥종이에 금, 은으로 그림, 정교하고 정확한 선에 의한 부드러운 자태 표현

 

3. 조각: 사실적 표현, 고부조 조각 발달

   1) 초기: 수, 당 > 자연스런 조형성과 사실성 성행, 통일국가 반영

   2) 완성기

   3) 쇠퇴기: 규모가 작아짐, 약사여래 주로 제작, 둔중하고 도식적인 마애석불로 변화

  • 석굴암 본존본상: 화강암 위주 석조조각, 풍부한 양감 강조, 부드러운 형과 선의 조화, 내면의 깊고 숭고한 마음을 드러내는 이상적인 모습 표현
  • 석굴암 부조들: 사실성이 바탕 된 풍부한 양감의 고부조 조각, 개성있는 표정과 우아한 자세가 두드러짐
  • 태종무열왕릉비

 

4. 건축/탑파

   1) 탑

      (1) 초기

      (2) 완성기: 조화와 비례 완성, 전형/이형양식 발달

      (3) 말기: 세부처리 기법이 간략화

  • 석가탑: 전형적인 신라 탑 양식, 간략하고 체계적인 결구의 구성, 비례와 균형에 의한 안정과 조화가 뛰어남, 단순미와 짜임새가 뛰어난 당당한 기품미
  • 다보탑: 이형 석탑, 목조탑의 기본 구조 반영, 직선과 곡선의 조화가 좋음

   2) 건축

      (1) 불국사

      (2) 석굴암

 

5. 공예

   1) 성덕대왕신종: 비천상과 당초문이 부조되어 있다, 율동미 강조

   2) 상원사종: 비천상 부조

   3) 감은사지 3층탑의 사리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