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의 정의 및 목적
1. 정의: 실용적이면서도 미적인 조형 활동을 실현하고 창조해가는 과정(38기사/42기사)
1) 심미적인 측면+실용적인 가치를 계획하는 합목적성
2) 실용적인 목적을 가지고 행해지는 창의적인 행위 모두(27기사/33기사/37기사/38기사)
3) 단순히 무엇인가를 끄적거리는 스케치나 드로잉에서부터, 머릿속에서 무엇인가를
계획하고 구상하는 정신적인 행위
2. 목표
1) 기본 목표: 미와 기능의 합일(41기사/43기사)
2) 루이스 설리번: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 기능에 충실하고 기능에 최대한 만족하는 형식을 추구하면 \
저절로 아름다움이 실현된다는 것을 강조(23기사/41기사/50기사)
***빅터 파파넥의 복합 기능 요소(31기사/33기사/39기사/45기사/47기사/48기사)
- 방법: 재료와 도구, 공정의 상호 과정을 유효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
- 용도: 도구의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하는 것
- 필요성: 일시적 유행과는 거리가 있고 경제적/심리적/정신적/기술적/지적 요구가 복합된 디자인이 필요하다
- 텔레시스: 특수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자연과 사회의 변천 작용에 대해 계획적이고 의도적으로 실용화하는 것(49기사)
- 연상: 인간이 지닌 보편적인 것, 인간의 욕망과 관계
- 미학: 형태나 색의 아름다움을 실체화
디자인의 방법
1. 디자인 과정: 욕구 단계-조형 단계-재료 과정-기술 과정-홍보
2. 디자인 설계도의 종류
1) 시방서(49기사): 설계도 보완을 위해 작업 순서와 방법, 마감의 정도, 제품 규격, 품질 등을 명시하여 표시하는 것
2) 견적서: 어떤 일을 하는 데 필요한 비용 따위를 계산하여 구체적으로 적은 서류
3) 평면도: 투영법에 의하여 입체를 수평면상에 투영하여 그린 도형
4) 설명도: 제작물의 구조, 기능 따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5) 모델링: 색채 계획 및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계획된 색채로 착색된 모형이나
시뮬레이션을 통해 의뢰인과 검토하는 과정
3. 아이디어 발상법(44기사)
- 논리적 사고: 우리가 평소 사용하는 말이나 언어 또는 지식 전반
- 수직적 사고: 보편적인 지식과 경험에 의해 형성되는 인간의 사고
- 수평적 사고: 논리적으로 이치에 맞지는 않지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착상을 하는 방법
1) 브레인스토밍: 일정한 테마에 관한 구성원들의 자유 발언을 통해 아이디어를 얻는 방법
> 많은 양의 아이디어를 양산할 수 있고 비판을 하지 않으므로 자유분방하고 엉뚱하면서도
우수한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다
2) 시네틱스: 유추로부터 아이디어를 얻는 방식
(1) 주제와 전혀 관계 없는 사물이나 생각을 연결하거나 사상이나 생각을 사물과 관련시키는 방법
(2) 상징적인 동화 이야기나 사건에서 힌트를 얻는 방법
3) 마인드맵: 마음속에 지도를 그리듯이 생각의 길을 뻗어 나가는 방법
4) 체크리스트법: 해결해야 할 문제에 대하여 여러 가지 방법론을 적어두고 하나하나 체크해 가면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양산하는 방법
5) 고든법: 문제를 구상화시켜서 무엇이 진정한 문제인지를 모른다는 상태에서 출발하여 구성원들에게
그것에 관련된 정보를 탐색하게 하는 것
6) NM법: 대상과 비슷한 것을 찾아내 그것을 힌트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각해내는 방법
> 연상을 위한 키워드를 정하고 직결되는 단어를 도출하여 질문을 던져 가면서 컨셉 형성
디자인 용어
1. 그런지
1) 얼터너티브락 그룹들의 엘리트주의에 대한 반항 > 보헤미아니즘과 젋은이들의 자유분방함
2) 레이어드룩: 층이 지도록 착용하거나 여러 겹을 겹쳐 입는 스타일
(1) 70년대 히피들에 의해 반모드로 유행(12기사)
(2) 의도적인 지저분함, 중고 의류의 재활용, 에콜로지의 표현, 반대 색상의 사용
2. 그래피티: 스프레이나 물감을 이용하여 낙서 같은 문자나 그림을 표현한 것
3. 글램: 히피 문화를 모태로 한 반사회적이고 자유 지향적인 문화들이 보다 다각적인 방법으로 다채롭게 양산
4. 노마드: 자유로운 떠돌이
1) 물질적인 소유보다는 경험의 축적과 자유롭고 창조적인 인간형 추구
2) 홀가분하고 쾌적한 삶과 단순하고 간편한 생활양식 지향
5. 데콜라주: 네크라인을 V,U자형으로 깊게 파서 목과 가슴을 대담하게 노출되도록 하여 인체 곡선미를 강조한 스타일(14기사)
6. 리디자인: 오랫동안 사용해온 상표나 제품의 디자인을 새로운 감각이나 소비자의 선호도를 조사하여 새롭게 수정 개량하는 디자인(28기사/29기사)
7. 레트로: 과거의 스타일을 새롭게 해석하고 그 감성을 재발견하는 절충주의적이고 다중주의적인 경향
8. 로하스(Lifestyle of Health and Sustainability)
9. 모방 디자인: 기존의 형태와 기능을 그대로 모방하는 디자인
10. 사이키델릭: 1960년대 히피의 마약 문화로 인한 현란한 색채가 패션에 응용된 것
11. 스칸디나비아 디자인
12. 앤드로지너스 룩: 1960년대 중반부터 남성 패션에 여성복의 영향이 나타나 복식 선택에 자유로움을 주었다
13. 에스닉: 비기독교 문화권의 민속 의상과 고유의 염색, 직물, 자수, 액세서리 등에서 영감을 얻어 적용한 패션
14. 엠파이어 스타일: 고전주의를 표방한 복식의 한 형태
15. 일러스트레이션
16. 젠 스타일: 동양적 사고의 오리엔탈리즘과 단순하고 근본적 사상인 미니멀리즘의 요소가 결합된 스타일
17. 테크노: 끊임없는 호기심과 인공적이고 차가운 소재, 미래적이며 사이버틱한 이미지
18. 펑크
19. 프로타주: 요철이 있는 표면을 문질러 피사물의 질감 효과를 나타내는 기법(34기사)
20. 히피: 공동체 생활과 자연 회귀, 인간성 회복과 수공예적인 스타일, 에스닉한 스타일 선호
21. 홀로그램